아프리카 암호화폐 지갑 급증 현상 분석: 한국 투자자에게 주는 시사점
최근 발표된 Dune Analytics 보고서에 따르면, 아프리카 대륙에서 암호화폐 지갑 생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나이지리아가 이러한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이 보고서는 아프리카 내 암호화폐 채택(adoption) 가속화의 중요한 지표를 제시하며, 특히 나이지리아가 아프리카의 암호화폐 허브(hub)로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강조합니다.
주요 내용 분석
아프리카에서 암호화폐 지갑 생성 건수가 급증하는 배경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불안정한 전통 금융 시스템에 대한 불신과 높은 인플레이션율이 많은 아프리카 주민들로 하여금 암호화폐를 가치 저장 수단(store of value) 및 인플레이션 헤지(inflation hedge) 수단으로 여기게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송금(remittances) 수요가 높은 아프리카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빠르고 저렴한 송금 솔루션이 각광받고 있는 점도 중요한 동인입니다.
보고서는 Zerion, Bitget, Phantom, MetaMask, Trust Wallet 등 다양한 지갑 플랫폼에서 나이지리아 사용자 비중이 매우 높다고 지적합니다.
특히 Zerion의 경우, 아프리카 사용자 중 37.2%가 나이지리아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나이지리아가 사용자 수 기준으로 아프리카 암호화폐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시장 및 생태계 영향
아프리카의 암호화폐 지갑 급증은 대륙 전체의 웹3(Web3) 생태계 발전에 긍정적인 신호탄입니다.
나이지리아와 같은 국가가 암호화폐 채택 및 활동의 중심지로 부상하면서, 아프리카는 단순한 소비 시장을 넘어 블록체인 혁신의 중요한 축으로 자리매김할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다만, 보고서는 지갑 생성 수의 폭발적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실제 거래량(transaction volume)은 기대보다 낮은 수준이라고 언급합니다.
이는 아직 많은 사용자가 암호화폐를 적극적인 투자나 거래보다는 보유(holding) 또는 소액 결제에 활용하고 있음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들이 비수탁형 지갑(non-custodial wallet, 개인이 개인키를 직접 관리하는 지갑)을 선호하는 경향은 중앙화된 시스템에 대한 낮은 신뢰와 금융 주권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을 반영합니다.
최근 나이지리아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새로운 법률(Investment and Securities Act 2025)을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규제 감독을 강화하려는 움직임도 이러한 성장과 맞물려 생태계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아프리카 현지 개발자 및 빌더(builder)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앞으로 더욱 다양한 아프리카 중심의 블록체인 솔루션과 프로젝트가 등장할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전망 및 고려사항
아프리카의 암호화폐 지갑 급증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현재의 낮은 거래량은 인프라 부족, 교육 및 규제 불확실성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음을 보여주지만, 젊고 기술 친화적인 인구 구조와 금융 포용(financial inclusion)에 대한 강력한 수요는 아프리카를 향후 가장 중요한 암호화폐 시장 중 하나로 만들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투자자 관점에서는 아프리카 시장의 잠재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프리카는 아직 초기 단계 시장이지만, 높은 성장 잠재력과 현지 특화된 사용 사례(use case) 발굴은 새로운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다만, 투자 시에는 해당 국가의 규제 환경 변화, 프로젝트의 실현 가능성, 그리고 시장 변동성 등 다양한 위험 요소를 신중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 우간다에서 발생한 암호화폐 관련 납치 사례와 같이, 특정 지역에서는 보안 문제나 사기 위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질 필요가 있습니다.
아프리카 암호화폐 시장은 adoption(채택) 단계를 넘어 innovation(혁신) 단계로 진입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현지 특화된 혁신적인 서비스들이 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러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현명할 것입니다.